아이폰 Xs와 XS max부터 eSim을 지원한 듀얼심이 가능하다고 해서 eSim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eSim의 e는 무엇의 약자일까요? E는 Elctronic의 E가 아니라 Embeded의 E 입니다. Embeded Sim 즉 박혀있는 심카드란 의미입니다. eSim은 GSMA(Groupe Speciale Mobile Association, 세계 이동통신 사업자 협회)에서 발표한 원격 지원이 제공되는 새로운 Sim카드 입니다.
기존에 유심카드로 불리었던 심카드는 위의 사진처럼 미니심 카드부터 시작해서 점점 작아져서 현재는 나노 심카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나노 심카드까지는 핸드폰의 유심트레이에 심카드를 꽂아서 쓰는 형식이였다면은, eSim부터는 물리적으로 낄 필요가 없이, eSim으로 다운로드 받으면은 되는 형식입니다. eSim 또한 탈착식 Sim카드와 마찬가지로 ISMI 넘버와 같은 고유 식별자가 있습니다. 즉 대부분의 사용자에게는 기존 Sim카드와 eSim은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eSim이 들어옴으로써 생기는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1. 개통이 간편해진다.
기존에 핸드폰 개통을 위해서는 Usim을 통신사 대리점에서 구입을 해서 사용을 했어야 했습니다. 또한 통신사 변경도 수월해 집니다. 무조건 통신사를 옮긴다거나, 선불 요금제 개통을 위해서는 무조건 대리점을 들려야 햇지만은, eSim이 있으면은 핸드폰 설정을 통해 손쉽게 가입이 가능해집니다. 그렇게 됨으로써 플라스틱 Sim카드 발급되기까지의 시간 절약이 가능한 장점도 있습니다.
2. 핸드폰 설계의 장점
eSim이 보편화 되고, 주로 사용이 된다면은, 핸드폰 제조업체들은 핸드폰에 Sim트레이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그만큼 설계의 여유가 생기는 것입니다.
3. 해외 로밍시의 장점
기존에 해외 여행시 로밍을 위해서는 두가지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습니다. 하나는 통신사의 해외 로밍 서비스를 이용한다든지, 아니면은 해외 현지 Sim카드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eSim이 지원이 되는 국가에서라면은, 그 나라에 입국시에 핸드폰 설정을 통해서 현지 국가의 통신사 선불 요금제에 바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해당 국가에서 eSim을 지원을 안하더라도 아이폰 Xs처럼 eSim + Sim으로 듀얼심이 가능하면은 해외에서 Sim카드를 구입해서 넣어 사용할수 있습니다. 그러면은 데이터는 해외sim카드를 통해 사용하면서도, eSim을 통해 국내에서 걸려오는 전화와 문자 확인이 가능해집니다.
마치며
eSim이 이번에 아예 처음 들어오는게 아닙니다. 기존에 출시한 애플워치3 LTE 버전에도 eSim이 들어있었고, 갤럭시워치에도 eSim이 들어있습니다. 구글 픽셀2 핸드폰에도 eSim이 지원됬었지만, 한국 출시는 되지 않았었기 때문에, 아마 아이폰Xs가 한국에 출시된다면은 eSim을 지원하는 최초의 폰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존의 통신사에서 Sim카드 판매 수익이 5년간 7천억을 벌었는데, 과연 eSim은 어떻게 대처할까요?
정답 : SKT,KT,LG 전부다 최초 개통시 2750원 부가 예정, 기기 변경시에도 부과 예정. 역시나네요.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 PC 조립 후기(드래곤볼 모으기) Final (0) | 2019.06.06 |
---|---|
개인 PC 조립 후기(드래곤볼 모으기) Ver 1 (0) | 2019.05.25 |
티스토리 글에 구글지도 첨부하기 (0) | 2019.03.06 |
벨킨 제품 AS 받는법 (0) | 2019.01.11 |
[Google play]개인정보처리방침 (0) | 2018.09.27 |